심리·정서적 어려움 해소, 학교생활 문제해결 등 종합적 지원 체계 구축

광주시교육청, 촘촘한 교육복지로 학생 맞춤형 지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광주시교육청, 촘촘한 교육복지로 학생 꿈·희망 지원한다. / 사진 = 광주광역시교육청
광주시교육청, 촘촘한 교육복지로 학생 꿈·희망 지원한다. / 사진 = 광주광역시교육청

[더페어] 오주진 기자 = 광주시교육청은 학생들 심리·정서적 어려움과 학교생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합적인 지원 체계를 구축하고, 학생들이 학업에 전념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지난해 처음 시작된 ‘꿈드리미’ 교육비 지원 사업은 중학교 3학년과 고등학교 3학년 학생 중 다자녀 가정, 저소득층, 다문화가정, 탈북민 가정 자녀를 대상으로 100만원 바우처를 지급하고 있다.

이 바우처는 수학여행비, 현장체험학습비, 졸업앨범비 등으로 활용될 수 있다.

시교육청이 지난해 바우처 사용처를 집계한 결과, 서점(31%), 독서실(21%), 안경점(20%), 문구점(14%), 원서접수 등으로 활용되어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과 학부모 사업 만족도도 높게 나타났다. 응답자 5,662명 중 96%가 만족한다고 답했으며, 96%가 가계 경제에 도움이 됐다고 밝혔다.

기타 의견으로는 사용처 확대와 지원 대상 확장 등이 있었다.

시교육청은 올해 꿈드리미 사업 대상을 중학교 2·3학년, 고등학교 2·3학년 학생으로 확대하여 더 많은 학생들이 경제적 부담을 덜고 학습과 생활에 집중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2026년까지 모든 중·고등학생에 대해 지원할 계획이다. 광주희망사다리재단을 통한 복지정책도 다양하게 시행되고 있다.

재단을 통해 지난해까지 101명 장학생을 지원했으며, 23가구 공부방 환경을 개선했다.

저소득층 고등학교 3학년 학생 755명(55개 학교) 석식비를 지원하고, 다문화 가정 학생 부모님의 고향 방문, 학교로 찾아가는 다문화 예술극장 등을 운영하고 있다.

올해는 아동복지시설 학생 지원, 사회적 배려 학생 지원, 미래 인재 육성, 교육 가족 문화체험 소통의 날 운영 등 4개 분야 사업을 활발히 펼칠 계획이다.

이 밖에 초등학교, 중·고등학교 신입생에게 각각 10만원과 30만원씩 입학준비금을 지급하고, 졸업예정자에게는 1인당 6만원 졸업앨범비를 지급하였다.

시교육청은 내·외부 협력을 강화하여 학생 맞춤 통합지원 사업 운영을 고도화하고, 교육복지 우선 지원 사업 대상을 고등학교까지 확대하여 총 120개교에 지원할 계획이다.

이정선 교육감은 “학생들이 겪는 다양한 어려움을 조기에 발견하고, 맞춤형 지원을 통해 학습에 집중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며 “교육청, 학교, 지역사회가 원팀이 돼 맞춤형 지원을 더욱 강화하고 학생 보호망을 견고히 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시교육청은 지난해 교육부 주관  ‘적극행정 우수사례 경진대회’에서 ‘범죄피해학생 민·관·경 통합지원 플랫폼으로 희망을 틔우다’(학생 맞춤 통합지원 교육복지 안전망 사업) 사례로 우수상을 받았으며, ‘꿈드리미 바우처 지급 간소화 사업’은 장려상으로 선정되는 쾌거를 이뤘다.

SNS 기사보내기
저작권자 © 더페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주요기사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