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페어] 오주진 기자 = 완주군마을통합마케팅지원단이 최근 완주경제센터 교육장에서 ‘2025 완주군 마을공동체 정책포럼’을 개최하며 지역 상생과 협력 모델 구축을 위한 논의의 장을 열었다.
올해 포럼은 ‘교류로 잇는 상생의 완주’를 주제로 지역 내·외 중간지원조직과 대학이 함께 모여 협력 기반을 넓히기 위해 마련됐다.
현장에는 완주군 관계자를 비롯해 완주마을공동체사회적협동조합, 완주군교육통합지원센터, 원광보건대학교 사회봉사단, 군산시농어촌종합지원센터, 담양군풀뿌리공동체지원센터, 전북특별자치도 농촌경제사회서비스활성화지원센터 등 약 25명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중간지원조직 간 연대의 가치와 지속 가능한 지역 협력 방안을 집중적으로 논의했다.
첫 번째 순서로 강영석 전북특별자치도 농촌경제사회서비스활성화지원센터 정책지원실장이 ‘지역 상생과 네트워크 협력의 방향’을 발표했다. 강 실장은 농촌활성화사업의 최근 흐름과 추진 구조 변화, 그리고 기관 간 유기적 연결 필요성을 설명하며 다양한 지역 협력 사례를 소개해 포럼의 화두를 제시했다.
이어 사례 발표에서는 각 기관의 현장 경험이 공유됐다.
박혜숙 군산시농어촌종합지원센터 사무국장은 주민 참여 중심의 협업 경험을 발표하며 “중간지원조직은 주민이 믿고 찾을 수 있는 조력자 역할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양순애 담양군풀뿌리공동체지원센터장은 공모사업 공동 대응과 협약기관 간 협력 사례를 소개하며 “지역 변화는 경쟁보다 협력에서 나온다”고 강조했다.
김자옥 원광보건대학교 사회봉사단장은 청년공익활동 및 재능나눔 프로그램 사례를 들며 “대학은 지역문제 해결을 시험하고 실험하는 중요한 파트너”라고 설명했다.
임소근 완주군교육통합지원센터 사무국장은 마을과 학교가 협력해 운영한 교육 프로그램을 소개하며 협력의 구체적 성과를 공유했다.
최현주 완주군마을통합마케팅지원단장은 “완주는 지속적으로 중간지원조직 간 협력을 기반으로 지역 생태계를 다져왔다”며 “이번 포럼을 통해 시·군 간 교류와 공동 실행 네트워크를 확대해 서로의 경험을 발전의 자원으로 만드는 상생 구조를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