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연구자원의 활용 생태계 조성 위한 법적 근거 마련
"체계적 수집 관리 되어 신산업 창출에 활용 기대"

홍석준 의원, 바이오 신산업 발전 위한 '생명연구자원법' 통과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홍석준 국회의원 프로필 / 사진제공=홍석준 의원실
홍석준 국회의원 프로필 / 사진제공=홍석준 의원실

[더페어] 박희만기자=국민의힘 홍석준 국회의원(대구 달서구 갑,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이 바이오 데이터 활용 생태계 조성을 위한 '생명연구자원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고 25일 밝혔다.

'생명연구자원법'은 잠재적 고부가가치를 지닌 생명연구자원을 효율적으로 확보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활용을 촉진함으로써 생명공학의 발전기반을 조성하고자 2009년 제정되었다.

바이오와 디지털 기술의 융합으로 연구개발을 혁신하고 신산업 창출에 기여할 데이터기반의 생명공학 연구가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다. 하지만, 현행 '생명연구자원법'은 바이오 데이터에 대한 명시적 정의를 포함하고 있지 않고 생명연구자원을 '생물체의 실물과 관련 정보'로 규율하고 있어 생명연구자원으로서 바이오 데이터의 활용 생태계 조성을 위한 근거 마련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다.

이에 홍석준 의원은 2023년 9월 급변하는 생명공학 기술의 기반이 되는 새로운 생명연구자원의 확장성을 고려하여 생명연구데이터를 포함한 생명연구자원의 정의를 명확히 하고, 새로운 바이오 기술 발전에 따른 생명연구자원의 적기 확보를 위한 위임 근거를 마련하는 '생명연구자원법'을 대표발의 했다.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생명연구자원법' 개정안은 생명연구데이터 정의 조항 신설 등 생명연구자원의 정의를 명확히 하고, 생명연구자원의 활용 생태계 조성을 위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여 활발한 생명공학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했다. 

또한, '생명연구자원법' 개정안이 이번 본회의를 통과함에 따라 양질의 소재와 데이터 자원이 기탁되어 활용되기까지 선순환 될 수 있도록 자원의 기탁과 활용이 우수한 연구자를 연구개발사업의 평가시 우대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마련하여 생명공학연구의 발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했다.

사진제공=국민의힘
사진제공=국민의힘

홍석준 의원은 "국가전략기술인 첨단바이오 육성을 통해 신기술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바이오의 디지털 대전환을 뒷받침할 양질의 데이터 수집과 활용이 핵심" 이라며 "이번 법의 개정을 통해 국가 중요자산인 생명연구자원이 체계적으로 수집·관리되어 바이오 신산업 창출에 활용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저작권자 © 더페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주요기사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