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들이 5·18 사적지 방문해 민주화운동 배울 기회 제공

광주시교육청, ‘오월 버스’ 5·18 역사 가치와 정신 미래 세대에 전달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오월버스’를 상징하는 캐릭터. 1980년 5·18민주화운동이 일어난 '오월(5월)'을 기억하고, 그 정신을 널리 전하기 위해 달리는 '오월 버스'의 상징을 담고 있다. 체험 중심 5·18 교육 활성화를 위해 5·18 사적지를 찾아가는 오월 버스로서, 5·18 역사 가치와 5·18 광주정신을 미래 세대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 사진 = 광주광역시교육청
‘오월버스’를 상징하는 캐릭터. 1980년 5·18민주화운동이 일어난 '오월(5월)'을 기억하고, 그 정신을 널리 전하기 위해 달리는 '오월 버스'의 상징을 담고 있다. 체험 중심 5·18 교육 활성화를 위해 5·18 사적지를 찾아가는 오월 버스로서, 5·18 역사 가치와 5·18 광주정신을 미래 세대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 사진 = 광주광역시교육청

[더페어] 오주진 기자 = 광주시교육청(교육감 이정선)은 지역 학생들이 5·18 역사를 현장에서 체험하고 배울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오월 버스’를 운영한다.

‘오월 버스’는 학생들이 국립5·18민주묘지 등 주요 5·18 사적지를 방문해 5·18민주화운동 체험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마련한 사업이다.

시교육청은 오는 4월 1일부터 5월 30일까지 초·중·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오월 버스’ 100대를 운행한다.

학교당 최대 4대, 최대 6시간까지 이용할 수 있으며, 5·18 사적지 탐방 프로그램 계획서를 제출해야 한다.

단, 사적지 중 국립5·18민주묘지는 반드시 방문해야 하며, 전일빌딩 245, 5·18민주화운동기록관, 5·18자유공원 등을 자유롭게 선택해 방문 예약 후 ‘오월 버스’ 지원을 신청하면 된다.

신청은 오는 21일까지 민주인권교육센터 누리집을 통해 가능하다.

시교육청은 지난 6일부터 희망학교를 신청받은 결과, 현재까지 41개 학교가 82대 오월 버스를 신청했다.

오월 버스 운영으로 기존 교실수업 중심 교육을 넘어 깊이 있는 체험형 5·18 교육이 이뤄질 것으로 기대된다.

시교육청은 지속된 세수 결손으로 강도 높은 긴축재정에도 불구하고 ‘오월 버스’ 운영, 5·18 계기 교육 자료 개발, 찾아가는 5·18 세계화 프로그램 등 학생 체험 중심 5·18 프로그램을 신규로 운영한다.

앞으로도 효율적인 사업 예산 편성을 통해 각 학교에서 5·18 교육이 체험 중심으로 이뤄지고, 5·18 가치가 세계화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이정선 교육감은 “‘오월 버스’를 통해 학생들이 교실을 넘어 역사적 현장에서 5·18민주화운동을 배우고 체험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며 “5·18 교육 내실화를 통해 성숙한 민주시민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저작권자 © 더페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주요기사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