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페어] 오주진 기자 = 5‧18민주화운동기록관은 4월 29일부터 10월 19일까지 기록관 3층 기획전시실에서 5‧18민주화운동 45주년을 기념하는 ‘소년이 온다’ 특별전을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노벨문학상 수상 작가 한강 소설 『소년이 온다』를 중심으로, 1980년 5월 광주 진실과 그 정신을 문학과 기록을 통해 새롭게 조명한다.
문학과 기록, 감정과 진실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5‧18민주화운동 현재적 가치를 되새기며, ‘소년이 누구이며 왜 왔는가’라는 질문을 중심에 두고 관람객이 직접 답을 찾아가도록 기획됐다.
전시는 프롤로그와 3개 본 전시, 에필로그로 구성되며, 소설 구조를 반영해 감정의 흐름을 따라 진행된다.
프롤로그 ‘동호를 그리는 어머니’는 영상과 함께 소설 첫 장면을 소개하며, 관람객이 전시에 몰입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제1부 ‘소년을 부른 사람들’은 이름 없이 사라진 광주의 평범한 사람들과 살아남으려 하지 않았던 인물들을 조명한다.
‘나의 너, 우리의 소년에게’ 영상은 5월 고통을 직면하게 하며, 행방불명자 명단과 진압봉, 방탄모 등 당시 폭력 흔적을 전시한다.
또 시민 민영량 씨 일기, 김영철 열사 일기, ‘도청 앞 분수대를 멈춰 달라’는 민원 문서 등을 통해 고통 속에서도 연대를 이뤄낸 시민 모습을 비춘다.
제2부 ‘소년이 오는 길’은 소년이 남은 이유와 공동체적 양심, 죄책감, 분노에 주목한다.
수습학생시민 어깨띠, 김송덕 씨 일기, 김영택 기자 취재수첩, ‘광주시민은 통곡하고 있다’는 성명서 등은 살아남은 자들 책임과 감정을 세밀하게 담아낸다.
제3부 ‘소년이 여는 시간’은 과거와 현재를 잇는 광주정신의 힘을 조명한다.
광주가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된 배경, 다양한 언어로 번역된 소설, 청문회 영상과 시민 기록 등을 통해 광주가 인류 보편 가치로 확장되는 과정을 전한다.
또한 진경우 작가 1987년 작 ‘평화를 찾아서’를 통해 민주화 여정 속 광주의 시간을 현재로 잇는다.
에필로그 ‘오늘, 소년이 온다’는 관람객이 전시에서 인상 깊은 문장을 필사하며, 자신만의 ‘소년’을 마주하는 체험형 공간이다.
김호균 5‧18민주화운동기록관장은 “문학으로 확장되는 5‧18은 과거와 현재, 나와 너를 깊이 있게 연결시킨다”며 “오늘 우리에게 걸어오는 광주를 함께 마중하길 바란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