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페어] 오주진 기자 = 보성군(군수 김철우)이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률에서 도내 1위를 차지하며, 군민 체감형 경제정책의 모범 사례로 떠오르고 있다.
보성군은 지류형 소비쿠폰의 전국적 수요 급증을 미리 예측해, 관련 물량 확보와 배부 시스템을 조기에 준비한 결과, 모든 대상자에게 차질 없이 쿠폰을 지급하는 성과를 올렸다. 특히 실무 부서 간 협업 체계를 빠르게 가동해, 지급 계획 수립부터 가맹점 확보, 읍·면 현장 인력 배치까지 발 빠른 행정이 주효했다.
군은 고령자·취약계층 등 디지털 소외계층을 위해 ‘찾아가는 현장 서비스’를 시행하고 있으며, 이러한 현장 중심 접근이 타 지자체와의 격차를 벌리는 핵심 요소로 작용했다는 평가다.
이번 소비쿠폰은 1인당 최대 55만 원까지 제공되며, 사용처는 전통시장, 동네마트, 음식점, 약국, 미용실, 학원 등 연매출 30억 원 이하의 소상공인 업종으로 제한돼 실질적인 골목경제 활성화를 유도한다. 상품권 사용은 오는 11월 30일까지 권장되며, 군은 누리집 및 SNS 채널을 통해 사용 안내와 가맹점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 중이다.
보성군은 이번 정책이 단기 소비 진작을 넘어, 지역 소상공인의 매출 확대와 일자리 창출로 이어지는 경제 선순환 구조를 형성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내부 분석에 따르면 소비쿠폰 지급은 최소 2~3배 수준의 경제적 파급 효과를 유발할 수 있다.
앞서 군은 지난 1월에도 군민 1인당 30만 원씩, 총 112억 원 규모의 ‘민생경제회복지원금’을 선제 지급하며 기초 경제 회복에 나섰고, 이번 82억 원 규모의 1차 소비쿠폰 지급을 통해 장기적 민생 안정 전략을 단계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김철우 군수는 “이번 소비쿠폰 정책의 높은 지급률은 단순한 속도의 문제가 아닌, 군민 실정에 맞춘 정책 집행의 결과”라며 “현장의 목소리를 끝까지 반영해, 군민 삶과 지역 경제가 함께 회복하는 실질적인 성과로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군은 아직 소비쿠폰을 수령하지 못한 군민을 대상으로 문자 안내, 마을 방송, SNS 홍보는 물론, 다음 주부터는 요양시설·복지시설 방문 배부를 본격화하며 수령률과 사용률 제고에 총력을 기울일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