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페어] 노만영 기자=통신사와 '호구 계약'을 맺은 CU가 점주들에게는 '갑질'과 폭언을 일삼아 논란이 되고 있다.
CU는 최근 전국가맹점주위원회로부터 본사의 제휴 할인 정책으로 발생하는 비용 부담 체계가 불합리하다는 지적을 받았다. 지난 16일 더불어민주당 김성주 의원(전북 전주시 병, 정무위원회)이 가맹점주위원회와 공동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구매액의 10%에 해당하는 할인액을 점주가 대부분 부담(42%)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CU 본사(18%)는 물론 통신사(40%)보다도 더 큰 비율이다.
마케팅 측면에서 점주들도 분담해야 할 비용이긴 하나 경쟁사 GS25와 비교해 CU 점주들이 떠안는 부담이 더 크다. GS25 역시 동일한 비율의 할인 정책을 실시하고 있는데, 할인금액을 점주 35%, 본사 15%, 통신사 50%씩 분담한다.
양사 모두 본사와 점주 간의 분담비는 3:7로 동일하지만, GS25의 경우 LGU+, KT와 멤버십 할인 비용을 절반씩 부담하고 있다. 그러나 CU는 SKT, KT와 6 대 4로 비용 분담을 합의했다.
결국 통신사로부터 덜 받은 금액을 점주들에게 떠넘긴 셈이다. 점주 입장에선 통신사보다 많은 비용을 지불해야 할 정도로 마케팅 효과가 큰지도 의심스럽다.
제휴 마케팅을 거부할 수도 없다. 편의점 업계에선 브랜드 차원의 이미지를 고려해 일부 특수매장을 제외하곤 일괄적으로 통신사 제휴 할인을 진행하는 정책을 고수해오고 있기 때문이다.

지나친 마케팅 비용 떠넘기기 때문일까? CU 매장에서 통신사 할인을 거부하는 사례도 발생했다. 본사의 떠넘기기와 방관이 계속되는 가운데 CU의 통신사 제휴 할인이 제대로 유지될 수 있을지 의문스럽다.
더 큰 문제는 가맹점을 대상으로 한 CU의 갑질이 점주들에 대한 직접적인 착취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앞서 지난 1월 CU 본사 직원이 가맹점주에 입에 담을 수 없는 폭언을 가한 사실이 보도되면서 사회적인 물의를 일으킨 바 있다.
지난 2022년 8월 강원도 원주 소재 CU 편의점에서 미성년자의 주류 구매를 제지하던 점주가 폭행을 당해 전치 8주의 진단을 받은 사건이 발생했다. 피해 점주는 안구를 크게 다쳤으며, 심각한 수준의 정신적 트라우마를 겪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결국 운영 중이던 매장의 폐점을 결정했고, 본사에서도 영업 중에 일어난 사고임을 감안해 폐점으로 발생하는 비용을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러나 폐점을 앞두고 피해 점주는 본사 직원으로부터 악질적인 폭언을 들어야만 했다. 본사는 점포 정리 비용 지원 약속도 일부 철회했다.
당시 직원은 피해 점주에 '장애판정을 받으면 로또를 팔 수 있어 오히려 영업이 잘될 것'이라는 막말을 내뱉은 것으로 알려졌다. 영업 중 사고로 점주가 겪은 실명 위험을 영업 수단으로 활용해 계약을 이어가겠다는 발상은 한 개인의 일탈이라기 보다는 CU 본사가 지금껏 점주를 대하는 방식이 반영된 결과물이 아닐까?
지난 9월에는 물품대금을 연체한 가맹점주에게 법정 최고수준인 20%의 이자를 임의로 부과해 또다시 점주착취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CU는 2022년 기준 1만 6천787곳의 점포를 확보, GS25를 제치고 국내 편의점 점포 수 1위에 올라섰다. CU가 가맹점들에 대한 '갑질'을 개선하지 않는다면 1만6천이라는 숫자는 착취 당하는 점주들의 숫자에 지나지 않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