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페어] 임세희 기자=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최근 LH 임대주택에 살고 계신 홀몸어르신들을 돕기 위한 '생활돌봄서비스'를 8월부터 시작한다고 밝혔다.
이 서비스는 LH 임대주택에 혼자 사는 80세 이상 고령자인 홀몸어르신들을 방문하여 말벗이 되어주고, 건강과 안전을 점검하며 복지 정보를 제공하는 주거 서비스를 말한다.
한국노인인력개발원과 협력해, LH가 2022년에 시작한 수도권 지역의 시범사업을 통해 2,966명의 홀몸어르신에게 돌봄서비스를 제공해왔다.
LH는 올해부터 수도권 뿐만 아니라 전북과 부산을 포함한 비수도권에서도 홀몸어르신 거주비율이 높은 임대주택 내에서 서비스를 확대할 계획이다.
지난 15일 선정된 330명의 '생활돌보미'를 대상으로 3일간의 권역별 생활돌봄서비스 사전교육이 실시됐고, 활동은 오는 8월부터 연말까지 이어졌다.
만 60세 이상 입주민으로 우선 선발된 '생활돌보미'는 홀몸어르신 세대를 방문해 돌봄 수요조사, 말벗 활동, 건강상태 및 안전점검, 복지정보 제공 및 연계 등을 수행한다.
올해는 홀몸어르신들을 위해 생활돌봄서비스뿐만 아니라 건강 증진과 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산림복지 특화 프로그램도 함께 제공된다.
지난 3일 LH가 한국산림복지진흥원과 산림복지 특화프로그램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 이를 토대로 LH는 임대주택 단지 내 조경공간을 활용하여 구근심기와 반려나무 갖기 등 산림 기반 작업치유 프로그램을 추진할 계획이다.
김경진 LH 주거복지계획처장은 “‘생활돌봄서비스’는 초고령사회에 대비해 고령자의 자립적인 일상생활이 가능하도록 건강하고 안전한 주거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라며, “앞으로도 LH는 주거공간 제공을 넘어 입주민들이 건강하고 행복하게 생활할 수 있는 다양한 주거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최근 집중호우로 인해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된 지역의 피해를 복구하기 위해 긴급 지원이 이뤄졌다고 지난 28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