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와 도의회 전문가 초청, 바이오 산업 미래 논의
바이오 기업 유치 및 국가예산 확보 목표 설정
3대 핵심 분야 집중 육성 계획 발표

전북특별자치도, ‘2025 첨단재생바이오 세미나’ 개최...바이오산업 발전 도모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북도청 전경 / 사진 = 전북특별자치도
전북도청 전경 / 사진 = 전북특별자치도

[더페어] 오주진 기자 = 전북특별자치도는 도의회 경제산업건설위원회와 협력하여 전북의 바이오 산업 발전을 위해 ‘2025 첨단재생바이오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는 6일 전북특별자치도의회 1층에서 진행됐으며, 김대중 도의회 경제산업건설위원장과 여러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세미나는 윤세영 바이오방위산업과장의 ‘2025년 레드바이오 산업 중점 추진계획’ 발표로 시작됐다.

이어서 박상혁 에이템즈 공동대표의 ‘바이오잉크 실용화의 길’, 조용곤 전북대병원 의생명연구원장의 ‘오가노이드의 새로운 시대와 전북’, 이영미 원광대 교수의 ‘전북, 첨단바이오 연계 헴프산업의 중심지로’, 정창원 원광대 교수의 ‘디지털헬스케어와 전북의 의료 혁신’ 등의 강연이 진행됐다.

전북자치도는 2025년까지 바이오 기업 30개 유치, 국가예산 2,000억 원 이상 확보, 보스턴 글로벌 협력 거점 구축을 목표로 삼고 있다.

이를 위해 바이오 소부장, 디지털 헬스케어, 첨단재생의료의 세 가지 핵심 분야에 집중해 관련 사업을 적극적으로 발굴할 계획이다.

특히, 바이오 R&D 지원 규모를 200억 원 이상으로 확대하고 바이오 산업 생태계 조성을 통해 기업 유치에 힘쓸 예정이다. 중장기적으로는 5개년 계획을 세워 체계적인 지원을 이어갈 계획이다.

전북자치도는 지난해 12월부터 산·학·연·병 전문가들과 협의하여 바이오 산업의 3대 핵심 분야를 선정했다. 바이오 소부장 분야는 중재적 메카노 바이오 기술과 탄소소재 의료기기를 중심으로 산업 고도화를 추진할 예정이다.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는 지난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23개 과제를 발굴하고, 2026년 국가예산 사업화를 목표로 중앙부처와의 협력을 이어가고 있다.

첨단재생의료 분야는 2025년 2월에 개정될 ‘첨단재생바이오법’에 따라 세포치료, 유전자치료, 조직공학치료 등이 시행될 예정이며, 전북도는 관련 기업 유치 및 국가예산 사업 발굴에 나설 계획이다.

김대중 위원장은 “이번 세미나를 통해 전북의 레드바이오 산업 가능성을 확인하고, 지역 내 기업과 연구기관 간 협력이 필수적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바이오 산업의 미래를 함께 고민하고 실질적인 성과를 이끌어내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신원식 미래첨단산업국장은 “이번 세미나가 조직공학, 오가노이드, 헴프, 디지털 헬스케어 등 3대 핵심 분야와 관련된 의미 있는 자리였다”며, 도의회와의 소통 및 협력을 통해 바이오 산업을 더욱 발전시키겠다고 밝혔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저작권자 © 더페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주요기사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