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후 2시 시청 중회의실서 ‘사람 중심 도시환경 구축방안’ 모색
김승수 전 전주시장 ‘한옥마을 차없는 거리 성공사례’ 공유

광주시, ‘대자보 도시 포럼’ 열어 보행친화도시 만들기 시민과 해법 찾는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4차 대자보 도시 시민포럼 포스터 / 사진 = 광주광역시
제4차 대자보 도시 시민포럼 포스터 / 사진 = 광주광역시

[더페어] 오주진 기자 = 광주광역시(시장 강기정)가 오는 20일 오후 2시 시청 중회의실에서 ‘제4차 대자보 도시 광주 시민포럼’을 열고, 승용차 중심 도시 구조를 사람 중심으로 바꾸기 위한 실천 방안을 모색한다.

이번 포럼은 광주시가 주최하고, 광주지속가능발전협의회, 광주교통공사, 광주도시재생공동체센터가 공동으로 주관한다.

포럼 주제는 ‘대중교통·자전거·보행’ 중심 도시 ‘대자보 도시 광주’ 실현을 위한 시민 인식 제고와 체감 확대다.

전주시 사례를 중심으로 광주 ‘차 없는 거리’와 ‘걷고 싶은 길’ 추진 방향과 대안을 논의한다.

기조 발제는 김승수 전 전주시장이 맡는다.

김 전 시장은 ‘걷고 싶은 도시는 어떻게 만드는가’를 주제로 강연하고, 이후 참석자들과 질의응답 및 토론을 진행한다.

그는 2014년부터 2022년까지 전주시장을 지내며 걷고 싶은 도시 조성을 정책 중심에 두고 추진한 바 있다.

이번 발표에서는 한옥마을 차 없는 거리, 충경로 사람의 거리 등 전주시 대표 보행정책 사례를 중심으로 소개할 예정이다.

특히 충경로는 전주의 상징적 거리로, 도로 다이어트와 광장형 도로 조성, 보행자 중심 환경 개선 등을 통해 시민 중심 공간으로 조성됐다.

보행환경 정비 전에도 매월 차 없는 거리 운영을 통해 시민들에게 큰 호응을 얻은 바 있다.

또 오랜 기간 차 없는 거리로 운영된 한옥마을 사례를 공유하며, 이를 광주에 접목할 수 있는 방안을 함께 살펴본다.

포럼은 사전 신청제로 운영되며, 시민 누구나 홍보 포스터의 QR코드를 통해 신청할 수 있다.

광주시는 지난해 ‘대자보 도시 광주’를 선언하고 대중교통, 자전거, 보행 중심 저탄소 도시 전환을 본격 추진 중이다.

이에 따라 도심 내 대각선 횡단보도 확대, 청춘 빛포차 광장 조성, 광주공원 주차장 공간 재편 등 다양한 보행 중심 정책이 진행됐다.

금남로 차 없는 거리 운영을 비롯해 풍암동 소통테마길, 백운광장 토요야시장, 전남대 후문 대학로, 1913송정역시장 등도 차 없는 거리로 정기 운영 중이다.

또 광주시는 각 자치구 주민 의견을 바탕으로 신규 차 없는 거리 시범 사업을 발굴하고 확대할 방침이다.

고광완 행정부시장은 “이번 포럼은 전주시 정책 경험을 공유하고, 광주에 맞는 보행정책을 시민과 함께 만들어가는 자리다”며 “사람이 중심이 되는 걷기 좋은 도시 광주를 함께 만들어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포럼은 대자보 도시 광주 시민포럼 네 번째 행사로, 앞서 보행환경·자전거, 교통약자 이동편의 증진, 간선급행버스체계(BRT) 등을 주제로 세 차례 열린 바 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저작권자 © 더페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주요기사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