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계 해역 부유쓰레기 공동 수거·운반 체계 본격 가동
장마철 집중 유입 해양오염 공동 대응 기반 마련

전북자치도·충남도, 정화선 공동운영해 해양폐기물 신속 대응 추진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도 어장정화선(전북901호) 집중호우 해양폐기물 수거 / 사진 = 전북특별자치도
도 어장정화선(전북901호) 집중호우 해양폐기물 수거 / 사진 = 전북특별자치도

[더페어] 오주진 기자 = 전북특별자치도가 집중호우 시 해상으로 유입되는 부유 해양폐기물에 신속히 대응하기 위해 충청남도와 정화선 공동운영 체계를 구축하고 본격 협력에 나섰다고 25일 밝혔다.

그동안 군산과 충남 서천 일대는 금강 상류에서 떠내려온 폐기물이 대량으로 유입되며 해양환경 악화와 선박 통항 위협이 지속돼 왔다.

지난해 7월 금강하굿둑 해역에만 900톤이 넘는 해양쓰레기가 몰린 것으로 추정되며, 이로 인해 수거와 처리에 막대한 행정력과 예산이 투입됐다.

이에 전북자치도는 해양정화선 ‘전북901호’를 동원해 군산 개야도와 비응항 일대까지 밀려온 부유쓰레기를 수거하며 연안 정비에 집중해왔다.

전북자치도와 충남도는 지난해부터 4차례 실무협의를 거쳐 집중호우 기간에는 단독 대응이 어렵다는 데 인식을 같이하고, 정화선 공동 활용 체계를 마련했다.

이 협약에 따라 전북은 전용 정화선 ‘전북901호’(171톤급)를 활용해 금강하구 도계 해역 부유폐기물 수거를 담당하고, 충남은 ‘늘푸른충남호’를 통해 수거물 운반을 맡는다.

김병하 전북 해양항만과장은 “해양폐기물은 단순한 쓰레기 문제가 아닌 재난에 가까운 사안”이라며 “광역 간 협력을 통해 장마철 해양오염에 선제 대응하고, 깨끗한 연안 환경을 만드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SNS 기사보내기
저작권자 © 더페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주요기사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