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화순·담양 4개 지자체 협력…이달 28일부터 유네스코 현장실사 돌입

광주시, 무등산권 세계지질공원, 두 번째 유네스코 재인증 도전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무등산 정상 상시개방 개통식 / 사진=광주광역시
무등산 정상 상시개방 개통식 / 사진=광주광역시

[더페어] 오주진 기자 = 광주시를 비롯한 전남도, 화순군, 담양군 등 4개 지자체가 무등산권 세계지질공원의 유네스코 재인증을 위한 현장실사를 앞두고 있다. 유네스코가 파견한 평가단은 오는 28일부터 31일까지 4일간 해당 권역의 운영성과를 집중 점검한다.

이번 실사에는 일본과 중국에서 각각 초빙된 지질공원 전문가 니레 카가야(Nire Kagaya), 타나(Ta Na) 위원이 참여하며, 지질명소 보존 상태부터 주민 참여사업, 교육·관광프로그램 운영 상황까지 전반적인 관리 체계를 평가한다.

실사 일정은 28일 광주시청에서의 환영 행사를 시작으로, 29일에는 무등산 주상절리대와 예정된 지질공원 플랫폼 건립지, 평촌마을 등을 시찰한다. 30일엔 화순 고인돌 유적지 및 공룡화석지, 31일엔 담양 죽녹원과 기후변화체험관 등을 차례로 방문할 예정이다.

무등산권 지질공원은 2018년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으로 첫 인증을 받았으며, 2023년 재인증에 성공한 바 있다. 올해는 두 번째 재인증 심사를 앞두고 지난 1월 보고서와 자체평가 자료를 유네스코에 제출했다.

또한 지난해 9월에는 베트남 까오방에서 열린 아태지질공원총회에 참가해 성과를 공유하고, 베트남 까오방·중국 운태산 지질공원과 협약을 체결하는 등 국제협력 기반도 강화했다.

최종 재인증 여부는 12월 세계지질공원 네트워크 이사회의 심의를 거쳐, 내년 4월 유네스코 집행이사회에서 발표된다. 평가 결과가 일정 수준 이상이면 ‘그린카드’ 판정을 통해 인증이 연장된다.

광주시 정현윤 기후환경국장은 “그동안 유네스코 권고사항을 충실히 반영해 준비해 온 만큼 긍정적인 결과를 기대하고 있다”며 “지속 가능한 지질자원 보존과 글로벌 협력 강화를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키워드
#광주광역시
저작권자 © 더페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주요기사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