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페어] 오주진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해양쓰레기 문제 해결을 위한 국내외 공조체계 구축을 지시한 가운데 해남군의 선제적 대응과 실질적 성과가 주목받고 있다.
명현관 해남군수는 15일 열린 정례조회에서 “정부가 해양쓰레기 감축과 제거 사업에 강한 의지를 갖고 있는 만큼 해남군 관련 사업 추진 현황과 성과를 면밀히 정리하라”고 지시했다.
해남군은 지난 2015년부터 전국 최초로 이동식 폐스티로폼 감용기를 운영하며 양식장에서 배출되는 폐스티로폼 부표 약 160만 개, 216톤을 처리했다.
감용기를 통해 압축된 폐스티로폼은 사진액자, 건축자재 등으로 재활용돼 자원순환형 폐기물 정책의 우수사례로 꼽힌다. 이 정책은 환경부와 SBS가 공동 주최한 ‘2025 기후환경대상’에서 종합대상을 수상했다.
해남군은 폐부표 제로화를 목표로 660만 개 중 60%인 400만 개 부표를 친환경 인증 부표로 교체 완료했으며 2032년까지 100%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군은 어민 부담을 줄이기 위해 국비 외에 군비를 추가 투입해 총 80% 보조율을 지원하고 있으며 이는 전국에서 유일한 선제적 시도다.
또한 어구보증금제를 통한 폐어구 회수에서도 전국 최고 성과를 거두고 있다. 군은 올해에만 통발어구 2만 4,000여 개를 수거하고 1,600여만 원을 어민에게 수매비와 반환포인트로 지급했다.
어구보증금제는 어민이 사용한 어구를 반납하면 보증금을 환불해주는 제도로 세계 최초로 한국에서 시행됐으며 2026년부터는 자망어구, 식장 부표 등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명 군수는 “해양쓰레기 문제는 정부와 지자체, 국제 사회의 협업 없이는 해결할 수 없다”며 “어민 생존권과도 직결된 해양환경 문제에 대해 해남군이 전국 선도 모델이 되도록 총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