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페어] 오주진 기자 = 전북특별자치도와 전북연구원, 지역 국회의원들이 1일 서울 여의도 켄싱턴호텔에서 ‘기업투자 촉진을 위한 새만금 사업 가속화 방안’이라는 주제로 정책포럼을 열었다.
이번 포럼은 전북자치도와 이원택, 신영대, 이춘석, 조배숙 등 여야 국회의원들이 공동으로 주최했으며, 문승우 전북특별자치도의회 의장과 국무조정실, 농림축산식품부, 새만금개발청, 한국농어촌공사 등 주요 정부기관 관계자 및 민간 기업 전문가 100여 명이 참석했다.
참가자들은 새만금이 지역 경제와 국가 성장 동력을 확보할 수 있는 중요한 프로젝트임을 강조하며, 공공과 민간 자본을 활용한 투자 유치 전략과 새만금 기본계획(MP) 재수립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이국용 군산대 교수와 김재구 전북연구원 새만금연구센터장은 각각 새만금 개발 필요성과 기업 친화적 환경 조성 방안에 대해 발제를 진행했다.
이 교수는 “새만금의 신속한 개발을 위해 국민연금 등 공적 기금을 투자재원으로 활용하고, 민간과 공공이 협력하는 공동 개발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새만금 산업단지에 입주한 기업 간 네트워크 강화를 통해 지속 가능한 지역 경제 성장을 도모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김재구 센터장은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새만금과 주변 지역 균형 발전을 위한 네트워크 강화를 강조하며, 새만금 기본계획(MP) 재수립 시 효율적인 토지 이용 계획과 수요 맞춤형 기업 유치를 위한 협력 거버넌스 강화를 제안했다.
지정토론에서는 손재권 전북대 교수가 좌장을 맡고, 구윤철 전 국무조정실장, 산업연구원 홍진기 명예연구위원, 새만금개발청 박준형 개발전략국장, 전북일보 위병기 수석논설위원, 성일하이텍 염광현 상무가 패널로 참석해 다양한 의견을 나눴다.
이들은 새만금 개발이 단순한 지역 경제 활성화를 넘어 한국 경제 지형 변화를 이끄는 주요 프로젝트가 될 것이라는 데 의견을 모았다.
김관영 전북특별자치도지사는 “새만금 개발은 전북 미래를 결정짓는 핵심 과제이며, 정부 투자 확대와 기업 친화적 환경 조성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새만금 스마트 수변도시 조성과 신속한 SOC 인프라 구축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경제 거점으로 발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새만금 정책포럼은 2012년부터 새만금 중장기 과제와 현안에 대한 정책 방향을 지속적으로 논의해 왔으며, 공공주도 매립 공론화를 통해 새만금개발공사 설립이라는 성과를 이뤄냈다.
이번 포럼에서 제시된 논의 결과가 새만금 개발에 실질적인 기업 유치 및 투자 활성화로 이어질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