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과 기관 협력방안 및 지역맞춤형 분산형에너지 시스템 모색

전북자치도,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 준비 가속화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북특별자치도 청사 전경 / 사진=전북특별자치도
전북특별자치도 청사 전경 / 사진=전북특별자치도

[더페어] 오주진 기자 = 전북특별자치도가 지속 가능한 에너지 자립을 위해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을 위한 준비 작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16일 전북도청 중회의실에서 열린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계획 수립용역 중간보고회’에는 RE100 에너지솔루션 분과위원, 시군 관계자, 전문가 등 20여 명이 참석해 특화지역 지정을 위한 전략을 공유하고 용역 진행 상황을 점검했다.

특화지역 계획 수립용역은 2025년 1월까지 진행되며, 특화지역 발굴, 입지 조사, 활성화 전략 수립 등 다양한 핵심 과제를 포함하고 있다. 

전북특별자치도는 2023년 6월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 시행에 맞춰 연구용역을 시작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특화지역 지정 전략을 마련했다.

특히, 9월에는 14개 시군과 관계기관을 대상으로 가이드라인 설명회를 열어 협력 방안을 논의했으며, 10월에는 특화지역 수요조사를 통해 주요 기업 및 기관과 협력 방안을 구체화했다. 

이번 용역에서는 지역 특성과 에너지 수요를 반영한 두 가지 모델이 제시됐다.

첫 번째 모델은 새만금을 중심으로 한 전력 수요 유치 모델이며, 두 번째는 농촌 지역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신산업 활성화 모델이다. 

이를 통해 전북은 지역 맞춤형 분산형 에너지 시스템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중간보고회에서 제안된 전문가 및 관계기관의 의견을 반영해 전략을 보완하고, 2025년 1분기 산업통상자원부 공모를 통해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을 신청할 계획이다.

오택림 미래첨단산업국장은 “도내 에너지 자원을 활용해 지속 가능한 특화지역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며, “특화지역 지정을 위해 도내 시군, 기업, 관련 기관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협력이 필수적이며, 모두가 힘을 모아 분산형 에너지 시스템 구축과 청정에너지 전환을 선도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저작권자 © 더페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주요기사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