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차 물관리기술 발전 및 물산업 진흥 5개년 계획 발표
74억 원 투자로 디지털 상하수도 운영 및 재생에너지 기반 하수 처리 추진
탄소중립 기술 개발 및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중점
맞춤형 해외 진출 지원 및 물산업 전문성 강화 계획

경기도, 탄소중립 물 관리 혁신 및 해외 진출 전략 마련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경기도 청사 전경 / 사진=경기도
경기도 청사 전경 / 사진=경기도

[더페어] 오주진 기자 = 경기도가 2029년까지 74억 원을 투자해 디지털 상하수도 운영 및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하수 처리 등 탄소중립 물 관리기술 개발에 나선다. 

경기도는 이러한 내용을 담은 ‘제3차 물관리기술 발전 및 물산업 진흥 5개년 시행계획(2025~2029)’을 2일 밝혔다.

이번 계획은 ‘탄소중립(Net Zero) 선도하는 경기도 물기업’이라는 비전을 바탕으로 도내 물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지원하고, 탄소중립 기술 개발 및 해외 진출 확대를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이번 3차 시행계획은 ▲탄소중립 기술 분야 집중 지원 ▲지원체계 고도화 ▲전략적 해외 진출 지원 ▲물산업 전문성 강화 및 네트워크 활성화의 4대 전략과 15개 세부사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 예산은 74억 원으로 책정됐다.

‘탄소중립 기술 분야 집중 지원’에서는 스마트 기술을 통해 원격으로 계측, 감시, 제어할 수 있는 디지털 상하수도 운영, 재생에너지 기반 하수 처리, 저에너지 해수담수화, 기후변화 대응 물 재이용 등의 미래형 물기술을 선정해 기술 개발과 사업화에 집중적으로 지원할 예정이다.

‘지원체계 고도화’는 경기도 물산업의 중심 역할을 수행하는 경기도물산업지원센터의 기능을 강화하고, 인공지능(AI) 기반 물정보 제공 시스템을 구축하며, 경기도형 기업 간 협력 모델을 개발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전략적 해외 진출 지원’은 물기업의 해외 시장 진출을 돕기 위한 맞춤형 지원 사업으로, 해외 구매자 초청 연수, 현지 조사, 수출 상담회 등을 포함한다.

‘물산업 전문성 강화 및 네트워크 활성화’는 경기도 물산업 발전 포럼, 지역별 협력 체계 구축, 국제개발협력(ODA) 타당성 조사 지원사업 등을 포함하고 있다.

표명규 경기도 상하수과장은 “이번 제3차 시행계획은 경기도 물 관리와 물산업 육성을 위한 명확한 로드맵으로, 경기도의 물산업이 국내를 넘어 글로벌 시장에서 인정받는 기반을 마련할 것”이라며 “도민이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물 복지와 환경 개선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경기도는 이번 계획에 따라 연차별 실행 계획을 수립하고 민간과 협력을 강화하여 주요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키워드
#경기도
저작권자 © 더페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주요기사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