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 2026~2030년 3,871억 원 규모 맞춤형 지원사업 정부 건의
지정 시 보조율 상향·긴급자금 융자·교부세 가산 등 재정 지원 확대

전남도, 광양시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 요청...철강산업 90% 의존 속 매출·생산 급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포스코 광양제철소 / 사진 = 전라남도
포스코 광양제철소 / 사진 = 전라남도

[더페어] 오주진 기자 = 전라남도는 산업통상자원부에 광양시를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해 달라고 공식 요청했다. 

철강산업 의존도가 극단적으로 높은 지역경제 구조를 고려해, 정부 차원의 선제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판단에서다.

광양국가산단은 철강산업이 생산의 88.5%, 수출의 97.6%를 차지할 만큼 편중돼 있다. 그러나 최근 글로벌 공급과잉, 중국산 저가재 유입, 내수 침체가 겹치며 철강 매출과 생산이 급감했다.

포스코 광양제철소는 주요 제품 매출이 모두 줄었고, 지역 협력 중소기업도 매출·영업이익이 일제히 하락했다.

청년층 인구 유출, 신규 채용 감소, 지역 상권 침체도 심각하다. 광양읍 주요 상권 공실률은 17.2%로 전국 평균(10.2%)을 크게 웃돌며 지역 전반에 위기감이 확산되고 있다.

이에 전남도는 2026년부터 2030년까지 5년간 3천871억 원 규모 맞춤형 지원사업을 정부에 건의했다. 

△철강 R&D 및 제조혁신 △고용 안정과 인력 양성 △중소·중견기업 금융지원 △지역사랑상품권 발행과 상권 활성화 △노후산단 재생 및 AX지원센터 구축 등이 주요 내용이다.

김기홍 전남도 전략산업국장은 “철강산업은 국가 기간산업인 만큼 광양시 위기는 곧 국가 경쟁력 위기”라며 “정부의 선제적 개입과 지원이 절실하다. 전남도는 산업 회복과 미래 경쟁력 강화를 위해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강조했다.

광양시가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되면 지방투자촉진보조금 국비 보조율 상향, 중소기업 대상 긴급경영안정자금 융자, 보통교부세 가산, 지역사랑상품권 발행 지원 등 다양한 재정적 혜택이 적용된다. 

지정 여부는 10월 현지실사와 11월 산업위기대응심의위원회 심의를 거쳐 최종 확정된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저작권자 © 더페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주요기사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