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페어] 오주진 기자 = 장성군은 민선 8기 핵심 군정 과제로 추진 중인 ‘장성형 복지 모델’이 청소년부터 어르신까지 아우르는 보편적 복지 실현 사례로 주목받고 있다.
가장 큰 호응을 얻는 정책은 대학생 등록금 지원 사업이다. 전남 최초로 도입된 이 제도는 학기당 최대 200만 원, 총 8학기분 등록금을 실비로 지원한다.
대상은 보호자가 3년 이상 장성군에 거주하는 만 30세 이하 대학 재학생이다.
청소년 복지도 눈에 띈다. 9~13세 청소년에게는 7만 원, 14~18세 청소년에게는 10만 원 상당의 '키움 바우처’를 지급해 서점, 문구점, 예체능 학원 등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아울러 초·중·고 신입생에게는 입학 축하금으로 장성사랑상품권을 지급해 가계 부담을 덜어주고 있다.
어르신을 위한 지원도 강화됐다. ‘효도권’ 지급액을 연간 18만 원에서 30만 원으로 늘렸으며, 식재료 구입이 가능한 ‘건강권’을 새로 추가했다.
노인일자리사업 활동 시간은 30시간에서 39시간으로 확대됐고, 80세 이상 어르신에게는 연간 14만 4000원 택시 바우처 포인트를 지급한다.
또한 군은 경로당 환경 개선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올여름 폭염에 맞춰 62곳 냉방기를 교체했고, 등록·미등록 경로당 373곳에 운영비와 부식비를 지원했다. 전 경로당에는 입식 테이블 설치도 추진 중이다.
김한종 장성군수는 “세심하고 촘촘한 ‘장성형 복지 모델’을 통해 청소년이 희망을 키우고, 어르신이 활기찬 삶을 누릴 수 있는 행복한 장성을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