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페어] 오주진 기자 = 김제시(시장 정성주)가 최근 발표된 전북지역 인구 이동 통계에서 뚜렷한 인구 증가세를 보이며, 순유출에서 순유입으로 전환하는 데 성공했다.
호남지방통계청이 5월 13일 발표한 ‘2025년 1분기 전북 인구 이동’ 자료에 따르면, 전주시(-2,683명), 군산시(-646명) 등 주요 도시들이 인구가 빠져나간 반면, 김제시는 814명의 순유입을 기록해 도내 시·군 중 가장 큰 인구 증가폭을 나타냈다.
특히 전북 대부분 지역에서 청년층(20~30대) 인구가 감소하는 상황 속에서 김제시는 청년 인구가 129명 늘어나는 긍정적인 결과를 이뤘다.
이번 인구 증가 배경에는 ▲산업단지 인근 생활환경 개선, ▲민간 임대 아파트 공급 확대, ▲스마트농업 기반 구축과 신규 산업 일자리 창출 등이 큰 역할을 한 것으로 분석된다. 더불어 ▲민생회복지원금 지급과 ▲생애 주기별 맞춤형 인구 정책 시행이 시민들의 정주 의욕을 높이는 데 기여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1995년 통합시 출범 이후 매년 평균 1,700여 명씩 감소하던 김제시는 최근 적극적인 인구 정책 추진으로 지난 4월 말 기준 인구가 81,211명으로 늘어나, 2022년 6월 80,861명 대비 약 350명 증가했다. 이는 수십 년간 이어진 인구 감소 추세에서 의미 있는 반전으로 평가된다.
정성주 김제시장은 “산업, 주거, 복지 등 다방면에서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정책을 추진한 결과, 인구 순유입이라는 좋은 성과를 거두게 됐다”며 “앞으로도 김제를 더욱 살기 좋은 도시로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올해 안에 903세대 규모의 공동주택(서희스타힐스, 백산LH 등)이 입주를 앞두고 있어, 향후 인구 증가세가 계속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