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페어] 오주진 기자 = 광주광역시(시장 강기정)가 공동주택 공사 현장에서 발생한 유출지하수 문제를 민·관·기업이 함께 해결하며 주민 민원을 해소하고 수자원 재활용 기반도 마련했다.
이번 사례는 일상에서 발생하는 민원을 행정과 협력으로 풀어낸 대표적인 생활밀착형 적극행정으로 평가받고 있다.
유출지하수는 건축 공사 등으로 인해 자연적으로 흘러나오는 지하수로, 하수관로로 유입 시 ‘하수’로 분류돼있다.
광주시는 2023년 10월 북구 각화동 A공동주택 신축 공사 중 하루 1100t 규모 지하수가 자연 유출된 사실을 확인했다.
이 지하수가 공공하수도로 흘러들면서 입주민들에게 월평균 1340만원 하수도요금이 청구돼 민원이 이어졌다.
이에 광주시는 국민권익위원회, 입주자대표회의, 시공사와의 조율을 거쳐 2024년 11월 ‘고충민원 조정회의’에서 유출 지하수를 서방천으로 직접 방류하는 방안을 확정했다.
시공사가 방류관로 설치비 전액을 부담하고, 광주시는 하천 방류를 위한 행정 지원을 맡아 유출수의 하수도 유입을 근본적으로 차단했다.
이 조치로 매달 발생하던 1340만원 수준의 하수도요금 부담도 완전히 해소됐다.
지하수를 하천으로 자연 방류함으로써 민원 해결과 동시에 서방천 수질 개선 및 생태환경 회복도 기대할 수 있게 됐다.
광주시는 이번 사례를 ‘2025년 환경부 공모사업’에 연계해 국비 9억9600만원을 추가 확보했으며, 총사업비 19억9200만원을 들여 2027년까지 조경용수, 청소용수, 소방용수로 활용 가능한 급수전 설치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김훈 물관리정책과장은 “A아파트 사례는 민·관·기업이 협력해 주민 고충을 실질적으로 해결한 모범적 행정 모델”이라며 “버려지던 유출지하수를 지속가능한 자원으로 바꿔 기후 위기 대응에 힘쓰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