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페어] 임세희 기자 = 전라남도교육청(교육감 김대중)은 지역 교육환경의 변화에 발맞춰 ‘2030교실’ 운영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번 프로젝트는 학령 인구 감소 및 이주배경 학생의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교사와 학생이 원하는 맞춤형 수업을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지난 5월 ‘2024 대한민국 글로컬 미래교육 박람회’에서 소개된 ‘2030교실’ 모델을 바탕으로, 교육청은 학교급별 맞춤형 수업 모델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학생 주도성, 공동 교육과정, 인공지능(AI) 활용 등을 포함한 다양한 수업 모델을 현장 의견을 반영하여 구체화할 예정이다.
오는 22일에는 ‘2030교실’ 운영 방향을 설명하는 자리를 마련하고, 11월에는 각 교실에서 수업 제안을 받아 맞춤형 교육환경을 조성할 계획이다.
각 학교의 학생 수, 교원 수, 교실 인프라, 지역사회 여건 등을 고려하여 차별화된 수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이후 현장 방문 컨설팅을 통해 수업의 완성도를 높여갈 예정이다.
교실 인프라 개선도 시작된다. 기존 교실을 보완해 실시간 공동수업이 가능한 환경을 조성하고, 전라남도교육AI 및 빅데이터 플랫폼을 활용한 기기 지원과 전자칠판, 전자교탁 등이 설치될 예정이다.
‘2030교실’에서 구현할 수업 모델에 대한 연구와 개발도 활발히 진행된다. 이를 위해 ‘2030수업교사’를 선정해 연구회 활동을 통해 2030교실의 브랜드화에 힘쓸 예정이다.
박람회 이후 활동을 이어온 400여 명의 수업지원단이 멘토로 참여해 우수한 수업 모델을 검증하고, 이를 영상으로 제작해 원격 연수 콘텐츠로 활용할 계획이다.

내년부터는 ‘2030수업축제’도 개최돼 독서인문교육, 공생, 기후환경, 디지털, 다문화 등 다양한 주제의 우수 수업 사례가 공유된다. 이와 함께 관련 콘퍼런스와 체험부스도 마련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