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요금 인상 필요성에 대한 의견 공유와 물가 관리 방안 모색

김제시, 2025년도 지방물가대책위원회 개최...상·하수도 요금 인상 논의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1회 김제시지방물가대책위원회 / 사진=김제시
제1회 김제시지방물가대책위원회 / 사진=김제시

[더페어] 오주진 기자 = 김제시(시장 정성주)는 6일 물가대책위원회 회의를 열고 상·하수도 요금 현실화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김제시 지방물가대책위원회는 정성주 시장을 위원장으로 하여 외식업협회, 여성단체, 소비자단체, 관내 농협, 수협, 원협 등 물가 관리와 관련된 단체장 20명으로 구성돼 있다.

이번 회의에서는 지난해 연구용역을 통해 제안된 상·하수도 요금 인상안에 대한 조정이 논의됐으며, 인상에 따른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격년제 인상 및 가정용·대중탕용 누진제 폐지 안건이 심의됐다.

위원들은 “김제시의 상수도 요금 현실화율이 52.1%(2023년 기준)로 행정안전부의 권장 목표인 90%에 비해 낮고, 하수도 요금 현실화율은 6%에 불과하다”며 “불가피한 공공요금 인상이라는 점에 공감하지만, 지방물가에 미치는 영향을 세밀하게 고려해야 한다”고 의견을 밝혔다.

정 시장은 “다른 시·군에 비해 상·하수도 요금 현실화율이 낮고 재정 적자가 누적되고 있어 상·하수도 인프라 개선에 어려움이 있다”며 “이번 심의가 시민들의 삶의 질 향상과 장기적인 인프라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키워드
#김제시
저작권자 © 더페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주요기사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