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페어] 오주진 기자 = 김제시(시장 정성주)는 6일 물가대책위원회 회의를 열고 상·하수도 요금 현실화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김제시 지방물가대책위원회는 정성주 시장을 위원장으로 하여 외식업협회, 여성단체, 소비자단체, 관내 농협, 수협, 원협 등 물가 관리와 관련된 단체장 20명으로 구성돼 있다.
이번 회의에서는 지난해 연구용역을 통해 제안된 상·하수도 요금 인상안에 대한 조정이 논의됐으며, 인상에 따른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격년제 인상 및 가정용·대중탕용 누진제 폐지 안건이 심의됐다.
위원들은 “김제시의 상수도 요금 현실화율이 52.1%(2023년 기준)로 행정안전부의 권장 목표인 90%에 비해 낮고, 하수도 요금 현실화율은 6%에 불과하다”며 “불가피한 공공요금 인상이라는 점에 공감하지만, 지방물가에 미치는 영향을 세밀하게 고려해야 한다”고 의견을 밝혔다.
정 시장은 “다른 시·군에 비해 상·하수도 요금 현실화율이 낮고 재정 적자가 누적되고 있어 상·하수도 인프라 개선에 어려움이 있다”며 “이번 심의가 시민들의 삶의 질 향상과 장기적인 인프라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